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계산법 지급조건 완벽정리

알바를 한 번이라도 해보신 분들은 주휴수당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주휴수당 계산법과 지급조건에 대해 아래 글을 통해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주휴수당-계산법-지급조건-완벽정리
주휴수당 계산법

목차

    주휴수당 지급조건

    주휴수당은  일주일 동안 총 15시간 이상 근무했을 경우 일주일에 1일씩 유급휴일주는 것입니다.

    간혹 주휴수당은 4인 이하 사업장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휴수당은 4인 이하 사업장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사업자 대표분들은

    알바를 고용할 때 주휴수당 지급조건 및 계산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주휴수당은 지급조건

    주휴수당-지급조건
    주휴수당 계산법

     

    일주일 근무시간 15시간 이상 근무 약속 이행

    - 예시 하루 3시간 x 일주일 7일 근무 = 21시간 근무

    이렇게 시급으로 근무할 경우에는 주휴수당 지급조건이 됩니다.

     

    근로계약서에 쓰여있는 근로일수를 개근한 사람

    - 예시 근로계약서에 월~금 하루 3시간씩 근무 명시되어 있는데

    수요일에 안 나올 경우에는 그 주는 주휴수당을 지급되지 않습니다.

     

    근로자가 계속 출근할 것 할 경우 (퇴사자에게는 지급하지 않아도 됨)

    - 예시 월~금까지 근무하여 15시간 이상 근무했지만 토요일에 퇴사할 예정

    이런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지급받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 계산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근로자의 날 법정 공휴일 수당계산 알아보기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간단합니다.

    주휴수당을 계산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바로 본인 근무 시간입니다.

    월급으로 받는 형태가 아닌 시급으로 지급받는 형태일 경우에는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을 잘 계산해야 합니다.

    주휴수당-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 / 40 x 8시간 x 본인 시급 = 주휴수당

     

    예시

    하루 4시간씩 5일 근무했다면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20시간이 됩니다.

    그리고 본인 시급이 최저임금일 경우라면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20 / 40 x 8시간 x 9860 = 39,440원 주휴수당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빠르고 쉽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계산법-바로가기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 프로그램 이용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계산법-프로그램
    주휴수당 계산법

     

    본인 근무시간과 시급 그리고 근무한 일수를 입력 후 계산하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20시간 근무, 시급 9,860원, 근무일 수 5일을 입력 후 계산하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됩니다.

     

    주휴수당-계산-결과
    주휴수당 계산법

     

    바로 하단에 입력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휴수당 계산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간단하게 주휴수당 계산기 프로그램을 이용해 본인의 주휴수당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 지급규정 계산 바로가기

     

    같이 알아보면 좋은 정보글

    근로자의-날-법정-공휴일
    주휴수당 계산법
    퇴직금-지급규정-기한
    주휴수당 계산법